알라딘

헤더배너

서양철학 로드맵

eBook으로 보기 저자별 추천 목록 다운로드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 ~1984
미셸 푸코의 삶:

미셸 푸코는 1926년 프랑스 푸아티에에서 태어났다. 1946년 명문 고등 사범 학교에 입학한다. 이후 철학과 심리학 학사를 취득하고, 이후 장 이폴리트의 지도로 헤겔에 관한 석사 학위 논문을 제출한다. 1950년경 알튀세르의 영향 아래 공산당에 입당하나 2~3년 후 스탈린주의에 대한 환멸 그리고 동성애에 대한 당의 태도에 실망해 탈당한다. 1955년 이후 스웨덴 웁살라, 당시 서독 함부르크, 폴란드 바르샤바 등지의 프랑스 문화원장 등으로 재직하다가 프랑스로 돌아와 1961년 소르본 대학에서 주논문으로 「고전주의 시대의 광기의 역사」를, 부논문으로 칸트의 『인간학』을 번역・주해한 텍스트를 제출한다. 1963년 『임상 의학의 탄생』과 『레몽 루셀』, 1966년 『말과 사물 — 인간 과학에 대한 고고학』(이하 『말과 사물』), 1969년 『지식의 고고학』을 출간하고 이 시기를 ‘지식의 고고학’ 시기로 지칭한다. 1970년 콜레주 드 프랑스의 최연소 교수로 임명되어 ‘담론의 질서’를 강연했다. 1971년 질 들뢰즈 등과 ‘감옥에 관한 정보 그룹(G.I.P.)’을 만들어 활동했다. 1975년 『감시와 처벌 — 감옥의 탄생』(이하 『감시와 처벌』)을 발표하고, 이 시기를 ‘권력의 계보학’ 시기라 지칭한다. 1976년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다룬 연작 ‘성의 역사’ 시리즈의 1권 『앎의 의지』를 출간한다. 원래 여섯 권으로 계획되었던 이 시리즈는 중도에 계획이 바뀌어 푸코가 사망한 1984년 2, 3권에 해당하는 『쾌락의 활용』과 『자기 배려』만이 더 출간된다. 이 시기를 ‘윤리의 계보학’ 시기라 부른다. 같은 해 자신의 ‘지적 유언장’이라 할 논문 「계몽이란 무엇인가?」를 발표한다. 푸코는 1984년 6월 25일 파리에서 에이즈로 사망했다. 푸코의 생애와 저작들에 대한 가장 완벽한 정리와 관련하여 그린비 출판사 블로그에 올라와 있는 네 편의 글 ‘푸코의 활동(http://www.greenbee.co.kr/blog/1685)’을 참고할 수 있는데, 이는 푸코 선집 『말과 글』의 「연보」를 완역한 것이다

미셸 푸코의 사상:

푸코 작업의 핵심은 한마디로 모든 ‘보편’의 관념에 대립하는 것이다. 서양 철학사에서 보편이란 필연적인 것, 본질적인 것, 불변의 것, 곧 ‘바꿀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푸코의 작업은 우리가 보편적이며 필연적이며 본질적이라고 믿는 것이 사실은 역사적으로 구성된 것이고, 그러므로 변화 가능한 것, 바꿀 수 있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런 면에서 첫 번째 대표작이라 할 『광기의 역사』는 우리가 자연적인 것, 따라서 역사나 문화와는 무관한 것으로 믿는 ‘광기’의 관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구성된 것인가를 밝히려는 작업이다. 푸코는 우리가 이러한 관념의 최종 근거로 삼는 모든 ‘자연적인 것’, 곧 생명, 생물, 의학, 정신, 육체, 광기 등의 관념이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자연적인 것’으로 구성되었는가를 밝힌다. 『말과 사물』 역시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이른바 인문 과학 혹은 인간 과학의 대표적 분과들이 노동, 생명, 언어의 분야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가를 밝힌다. 『감시와 처벌』은 니체적 계보학의 입장에서 감시와 처벌 혹은 죄책감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사회화, 제도화되면서 근대 사회 구성의 근본 원리가 되었는가를 밝힌다. 『성의 역사』 연작 역시 섹슈얼리티의 영역에서 우리가 어떻게 스스로를 이러저러한 성의 주체로 인식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는가를 서구의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앞서 언급한 필연과 보편의 관념에 대한 푸코의 비판은 이처럼 ‘오늘 우리가 어떻게 여전히 자유와 변화의 지점을 찾을 수 있는가’를 밝히려는 궁극적 관심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조건들 중 하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미셸 푸코, 단계별 읽기:
step1,2,3 step1 step2 ste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