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번역가. 어린 시절 읽고 또 읽은 세계문학전집 한 질의 영향으로 문학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아름다운 무엇을 꿈꾸며 살게 되었다. 경희대학교에서 수학과 국문학을 복수전공하고 와세다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본근대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다자이 오사무 전집 《만년》, 《신햄릿》, 《판도라의 상자》, 《인간실격》, 나쓰메 소세키 《도련님》, 미야자와 겐지 《은하철도의 밤》, 《봄과 아수라》, 미시마 유키오 《금색》, 《나쓰코의 모험》, 다와다 요코 《지구에 아로새겨진》, 《태양제도》 등이 있으며, 저서로 소설 《파도의 아이들》, 동화 《모기소녀》, 산문집 《날마다 고독한 날》, 《한 줄 시 읽는 법》이 있다.
문학평론가. 한국문학 연구자. 2020년부터 비평활동을 시작했으며, 문학사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설국》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일본 근대 서정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 그의 문학적 원점에 가닿는 숨겨진 명작 《소년》이 ‘북다’에서 국내 초역으로 출간되었다. 작가는 1968년 노벨상 수상 당시 “일본인 심리의 본질을 그린, 매우 섬세한 표현에 의한 서술의 탁월함”이 수상평으로 언급될 만큼 아름답고 섬세한 문장을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작품 세계 전반에 걸쳐 서정적 비애와 감각적 미학을 추구했다.
대문호 가와바타의 대표작이자 초기작 중 하나가 〈이즈의 무희〉다. 흔들리는 청춘의 내밀한 고독함과 인간과의 만남을 통한 정서적 구원에 대해 슬프도록 미학적인 문장으로 표현한 자전적 소설로, 이론의 여지없이 가와바타표 신감각파 문학의 근간으로 평가받는다. 〈이즈의 무희〉와 마찬가지로 《소년》은 젊은 가와바타 특유의 애수와 서정성이 고스란히 담긴 작품이다.
작중에서 작가는 “〈유가시마에서의 추억〉이라는 제목의 글이 있다. 스물네 살 여름에 썼다. 이 이야기의 전반부를 스물여덟 살에 고쳐서 〈이즈의 무희〉라는 작품으로 완성했다. 후반부에는 중학 시절 기숙사에서 같은 방을 썼던 소년을 향한 사랑의 추억이 적혀 있다.(19쪽)”라고 언급한다. 비슷한 시기에 “소년을 향한 사랑의 추억”으로 완성된 작품이 바로 《소년》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