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미술관에 간 해부학자 스키마와라시 널 위한 문화예술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제1회 문윤성 SF 문학상, 최의택의 출현"
슈뢰딩거의 아이들
최의택 지음 / 아작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COVID-19 4차 대유행과 함께 학교가 또 문을 닫았다. 새학기가 찾아와도 친구를 만나러 학교로 갈 수 없는 이 계절, 최의택의 이야기를 독자에게 소개한다. 선천성 근위축증으로 고등학교를 중퇴한 작가가, 계속해서 글을 쓰며, SF라는 문법을 만나 설계해 낸 학교 이야기. '학당'이라는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을 배경으로 존재하면서도 존재하지 않는, 소외된 존재들을 위해 세상에 질문을 던진다. 왜 우리가 유령이어야 하죠?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아이들은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들은 절대 유령 같은 게 아니다." (17쪽) '유령'의 정체가 밝혀지면서 이야기는 청소년 범죄소설의 외피를 쓰고 경쾌하게 나아간다. 광화문의 이순신 동상, 도서관인 홍문관의 소설과 비소설 서가 경계 어디쯤, 운동장으로 쓰이는 '육조거리' 같은 설정들이 게임 시나리오 같은 소설의 전개와 만나면 '어딘가 SF스러운 멋짐이 폭발'(39쪽)한다.

한국 최초의 장편 SF <완전사회>를 쓴 문윤성 작가를 기리며, 심사위원 김초엽, 민규동, 이다혜가 만장일치로 선정한, 제1회 문윤성 SF 문학상 대상 수상작. 김초엽 작가는 '멋진 동료 작가를 만나게 되어서 기쁘다.'고 말하며 최의택 작가를 응원했다. 그 응원이 독자와 맞닿길 바란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첫 문장
광장 어디에서든 그 위용을 알아볼 수 있는 이순신 장군의 보호 아래, 광화문 광장은 언제나 그렇듯 활력이 넘친다.

이 책의 한 문장
소수자라는 비슷한 처지에서 나에게는 그 알지 못함이 무엇보다 충격적이다. 우리는, 서로에 대해 모른다. 모를 수밖에 없고, 그래서 배워야 한다. 혼자 저 지하 깊숙한 동굴에서 살 생각이 아니라면 말이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예술과 신화로 하는 해부학 강의"
미술관에 간 해부학자
이재호 지음 / 어바웃어북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그 유명한 작품,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에서 아프로디테의 유난히 처진 왼쪽 어깨를 눈치챘는가? 보티첼리는 첫사랑 여인을 모델로 아프로디테를 그렸는데 이 여인은 결핵으로 왼쪽 허파가 망가져 있었다. 허파가 상하면 그 위 어깨가 주저앉는다고 한다. 멋진 작품들을 감상할 때 해부학자의 눈에는 아무래도 조금 다른 지점들까지 보이기 마련일 것이다. 뼈대와 근육의 완벽한 표현으로 찬사를 받는 '밀로의 비너스'의 골반은 비뚤어진 상태다. 해부학자인 저자는 이 조각상을 보며, 볼기근에 문제가 생겨 트렌델벨버그 징후가 나타난 것이 아닌가 의심한다.

이 책은 프리다 칼로, 샤갈, 고흐처럼 육체적 고통을 지니고 살았던 예술가들의 그림을 보며 그들이 부상을 입었던 신체 기관을 설명하기도 하고, 명화 속 신화를 통해 '림프', '메두사의 머리'처럼 신화 속의 이름을 따온 신체 기관이나 질병을 소개하기도 한다. 많이 알려진 작품들이지만 해부학자의 시선을 통과하니 또 새롭다. 저자는 예술과 신화, 해부학이 잘 버무려진 이야기를 친절한 도슨트처럼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다. 외출하기 겁나는 요즘 같은 때, 집콕하며 후루룩 읽기 딱이다. - 과학 MD 김경영
이 책의 한 문장
해부학자의 시선으로 예술 작품을 바라보면, 근육·뼈·혈관·장기 등 사람의 몸 구석구석이 보인다. 네덜란드 장르화가 베르메르가 그린 <우유 따르는 여인>에는 반복된 가사노동의 흔적이 담겨 있다. 여인의 왼팔은 무거운 주전자를 받치고 있다. 꽤 도드라진 그녀의 왼팔 근육은 ‘위팔노근’이다. 작품 속 여인처럼 무언가를 들 때, 팔꿈치 관절을 굽힐 때 사용된다. 위팔노근은 위팔뼈 바깥쪽에서 시작되어 아래팔 바깥쪽 뼈인 노뼈에 붙는다. 이 근육은 맥주잔을 들어 올릴 때 사용되어 ‘beer raising’이라는 별칭이 있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온다 리쿠, 시대의 여름을 기억하며"
스키마와라시
온다 리쿠 지음, 강영혜 옮김 / 내친구의서재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골동품 가게를 운영하는 형 다로와 동생 산타. 골동품 업계에는 물건에 얽힌 기담들이 아무렇지 않게 떠돈다. "사람들은 이야기까지 포함해서 골동품을 사는 것"이라는 철학으로 이에 익숙해진 형제이지만, 얼마 전 업자들에게 들은 이야기는 뇌리에 남아 쉬이 사라지지 않는다. 오래된 건물의 철거 현장에서 한 아이를 봤다는 여러 사람들의 증언이다.

처음에는 동네 꼬마가 숨어들어온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모두가 목격한 아이의 인상착의가 똑같다는 것을 알게된 형제는 등골이 오싹해지면서도 어쩐지 그 이야기가 아련하게 느껴져 자꾸만 이끌린다. 한 시대의 여름을 기억하며. 골동품과 오래된 카페, 근대의 건축물, 모든 낡아가는 것과 그것이 간직한 기억에 바치는 온다 리쿠의 헌사. - 소설 MD 권벼리
이 책의 첫 문장
이 이야기는 '스키마와라시'에 대한 것이지만 이 건에 얽힌 여러 이야기를 하기 전에 역시 여덟 살 위의 형부터 언급해야 할 것 같다.

이 책의 한 문장
수집욕은 논리가 아니다. 어쨌든 가지고 싶다. 아무리 많아도 가지고 싶다. 모으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이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40만 명이 선택한 유튜브 아트 채널"
널 위한 문화예술
널 위한 문화예술 편집부 지음 / 웨일북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40만 명이 선택한 유튜브 아트 채널 '널 위한 문화예술'의 시선을 책으로 만난다. 예술가는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다른 예술가와는 어떤 점이 달랐고 자신만의 영감과 표현은 어떻게 찾았는지, 잘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작품에게 다가간다.

최근 영화로도 개봉한, 존 에버렛 밀레이의 <오필리아> 이야기. '마치 자신의 불행을 모르는 사람처럼' (39쪽) 물 위에 떠있는 여인은 현대의 패션 화보 등에서 레퍼런스로 활용될 정도로 인기있는 이미지이다. 과연 당시에도 이 그림이 아름답게 인식되었을까. '널 위한 문화예술' 채널은 그렇지 않았다고 대답한다. 청록색과 자주색과 보라색 같은, 당시 꺼려지던 색을 주조로 사용한데다 라파엘로 같은 르네상스 거장들이 추구하던 균형미와는 거리가 먼 그림. 오필리아를 그리던 밀레이는 '있는 그대로의 그 순간을' 그리기 위해 (실제로 이 그림 속에 등장하는 꽃들의 개화시기는 모두 다르다고 한다.) 집요하게 호숫가를 관찰했다. 시대의 흐름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간 예술가의 이야기를 알고 보면, 그림이 조금 다르게 보인다.

<모나리자>의 도난 사건과 '역주행' 이야기. 툴루즈 로트레크의 모델이자 최초로 누드화를 그린 여성화가로 남은 빌라동 이야기. 우리를 울게 하는 그림을 그리는 마크 로스코의 이야기. 유튜브 영상처럼 친절한 글을 따라 읽으며 그림을 보는 눈이 선명해진다. 피카소의 청색시대, 앙리 마티스의 붉은 방, 고흐의 해바라기로 이어지는 색채 이야기도 읽는 즐거움을 더한다. - 예술 MD 김효선
이 책의 한 문장
나이 들어 백내장에 시달릴 때도 수련을 놓지 않았던 모네는 1926년, 여던여섯 살에 세상을 떠납니다. 오랜 친구 조르주 클레망소는 "모네에게 검은색은 없다!"라고 외치며 관 위에 드리워진 검은 천을 치우고, 대신 색으로 가득한 꽃무늬 천으로 관을 덮었다고 하죠. 빛과 자연을 사랑한 인상파의 창시자 클로드 모네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장례식이었습니다.

북트레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