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이 초판 된 지 벌써 이십여 년이나 되었다. 1960년대 말 조사 당시에는 무속이 미신이라 여겨져 타파 대상이었고, 새마을 운동 때에는 무속을 비롯한 민간신앙뿐만 아니라 전통문화 자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정책을 썼던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나를 포함한 많은 민속학자들은 조만간 무속은 사라지고 말 것이라 생각하였다.
나의 무속 연구도 그러한 근대화 과정에서 자연 전통문화는 사라질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전통문화의 보존이라는 입장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즉 근대화의 물결 앞에 사라져가는 과거를 잡아둔다는 심정으로 긴급히 조사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사명감도 있어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전통문화에 가치를 부여하거나 무속을 신앙으로서 긍정적 가치를 부여했던 것은 안이다. 그저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그것을 자료로 하여 그 의미를 추구하는 것뿐이다.
이 책이 초판 된 지 벌써 이십여 년이나 되었다. 1960년대 말 조사 당시에는 무속이 미신이라 여겨져 타파 대상이었고, 새마을 운동 때에는 무속을 비롯한 민간신앙뿐만 아니라 전통문화 자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정책을 썼던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나를 포함한 많은 민속학자들은 조만간 무속은 사라지고 말 것이라 생각하였다.
나의 무속 연구도 그러한 근대화 과정에서 자연 전통문화는 사라질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전통문화의 보존이라는 입장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즉 근대화의 물결 앞에 사라져가는 과거를 잡아둔다는 심정으로 긴급히 조사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사명감도 있어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전통문화에 가치를 부여하거나 무속을 신앙으로서 긍정적 가치를 부여했던 것은 안이다. 그저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그것을 자료로 하여 그 의미를 추구하는 것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