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 특히 최근 전후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 등에 따른 노후를 위한 귀촌 및 귀농, 주말 주택 및 세컨하우스 등의 수요가 새로운 시대의 화두가 된 것을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다. 주택은 주거의 목적에 따라 구조와 기능이 맞아야 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주거의 생활환경에 대한 목표를 안전, 건강, 쾌적, 능력 등에 두고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2년 898만명 전인구의 17.4%, 2040년에는 1,715만명으로 전인구의 34.3%로 예측되는데 노인의 수는 실제 숫자와 인구 비율 모두 급증하고 있다. 개인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는 변하고 환경의 요구를 처리하는 능력은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이에 따라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돌봄이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었으며, 2018년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의 통합 돌봄사업 기본계획에서도 보건의료, 돌봄, 생활지원 프로그램과 더불어 그 중심에 주거지원 즉, 자택, 케어안심주택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잘 설계되고 지지적인 환경은 고령자들이 그들의 집을 더 완전히, 더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도울 수 있고, 거주하는 집에서 더 오래 독립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부엌과 욕실의 사용은 고령자들에게 어려운 도전의 장소로 가장 큰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어,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령자들이 이 방들을 완전히 그리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집에서 살며, 늙어가는 ‘Aging in Place / Living in Place’ 개념을 기반으로 노후 건강주택의 디자인이 탐구되었다. 건축 환경에서의 디자인은 기능적 한계를 가진 고령자들의 장벽이 된다. 초기 주택은 물리적 한계를 가진 사용자의 요구되는 요구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이후 더 명백한 접근성을 중심으로 주택의 외관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특정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응형 주택 설계가 도입되었다. 오늘날은 모두를 위한 건강주택 설계는 고령자들의 물리적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고, 노인의 일상 활동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고 만족감, 안정감, 편안함, 독립감 등을 주어야 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이 글은 그간 노인 건강, 돌봄 및 보건복지 분야에 종사해 온 우리들이 노후를 위한 건강주택의 개념 등을 정리해볼 필요성을 느낀바 여러 국내외 자료를 리뷰하고 정리하여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건강하지 않고, 불안전한 주택사업에 대하여 적극 고려하고 개선해야 하는 필수적인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노후를 위한 건강주택의 개념을 소개하고자 기획되었다.
1, 2장은 서론과 노인 주거와 건강 개념을 소개하였고, 3장 보편적 디자인과 원칙, 3장부터는 각론으로 가구, 조명, 안전, 색상, 안락의자, 바닥, 목욕실 및 화장실, 부엌 등으로 주요 검토 사항 등을 소개하였고, 11장은 사고와 외상 등을 담았으며, 부록으로 주택에 대한 세계보건기구의 보건지침과 주택 안전 점검표 등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노후 건강주택의 주제와 내용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자료들이 한계가 있어 다소 미흡한 점은 다음에 보완할 예정이니 독자여러분의 이해와 지도편달을 기대한다. 참여해주신 공동 편저자분들께 감사드리고, 출판을 허락해주신 내하출판사 모흥숙 대표님과 직원 여러분들께 감사드리며, 원고의 편집과 수정을 도와준 건양의대 예방의학교실 연구원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