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이숙의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26년 (게자리)

사망:2000년

최근작
2007년 8월 <이 여자, 이숙의>

이숙의

1926년 7월 20일, 대구 인교동에서 태어났다. 1940년 충남 공주여자사범학교 심상과에 입학, 4년 후 졸업하여 1944년 모교인 경북 의성읍성 중부국민학교 훈도로 부임했다. 1946년 해방 후 처음 맞는 3.1절 기념행사에서 좌의 대표로 연설한 박종근을 만났고, 1947년 6월 10일 남조선 노동당 부위원장이었던 이기석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렸다. 그해 12월 3일 남편 박종근은 공부를 더 하고자, 그리고 미군정과 경찰의 탄압을 피해 월북했고, 1948년 4월 딸 박소은이 태어났다. 한국전쟁이 일어난 후 1951년 3월 남편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

1953년 9월10일 의성 남부국민학교 교사로 복직했고, 1954년 8월 대구 중앙국민학교로 발령이 났다. 북명국민학교로 다시 전근해 근무하던 1959년 8월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서대문형무소에 미결수로 수감되었다가 무죄로 풀려났다. 출감 후 다시 교직에 복직했고, 중앙.복명.대구국민학교에서 가난하고 어려운 처지의 아이들을 도운 사실이 알려져 여러 차례 교육자 특공상을 받았다. 1963년 경북교육국 장학사로 발령받았고, 1964년 경북 교육위원회 초등교육과 장학사로 임명되었다.1973년부터 2년 동안 오스트리아에서 특수교육 연수를 받았고, 귀국해서는 경북도교육연구원 연구사로 일했다. 1976년 3월 남편 박종근 사망 신고를 했고, 1977년 사표를 제출하고 딸과 사위가 있는 서독(지금의 독일)을 떠났다. 1990년 자서전 집필을 시작했다. 1995년 일사 귀국 중 해방 50주년 특집 <말>과 〈말〉과 〈공동선〉에 처음으로 삶의 단상을 공개했다. 그해 12월 평양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약 2주간 체류, 남편 박종근의 열사증, 국기 훈장 및 영웅칭호 수여증, 조국 통일상을 받고 독일로 돌아갔다. 2000년 6월 그동안 거론되던 회고록 출간을 준비하러 한국에 일시 귀국했다가 8월 28일 대구 가톨릭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영면하였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이 여자, 이숙의> - 2007년 8월  더보기

그렇다. 나에겐 기다려야 할 내일이 있었다. 그 내일을 기다리면서 살아 왔던 희망과 기어코 그날을 맞이하리라는 신념이 없었다면 오늘의 나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다. 엄청난 삶의 고비를 넘으면서도 살아야 했다. 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끈질긴 집념이 그래도 나로 하여금 이렇게 허망한 시공을 헤아리게 해 준 것이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