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이현진

최근작
2022년 3월 <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이현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교수 및 인문사회과학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 과정을 이수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조선 왕실의 상장례』가 있고, 공저로 『종묘와 사직』, 『한양의 탄생』, 『조선의 국가 제사』,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한국의 수도성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장생전(長生殿)의 설치와 운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등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조선 왕실의 상장례> - 2017년 1월  더보기

상장례(喪葬禮)는 신분적 위계가 뚜렷한 조선시대에 왕실에서 행한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의례 중 하나다. 죽기 직전부터 혼(魂)이 깃든 신주를 사당에 봉안하기까지 3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엄숙하고 장엄한 분위기 속에서 수많은 의례를 진행해야 하는 힘든 과정이다. 조선의 왕실에는 국왕, 왕후, 세자, 세자빈, 세손 등 위계와 신분이 다른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의 죽음을 기록한 자료는 사대부나 일반 사람들에 비해 풍부하다. 그중 의궤는 시각적 효과까지 제공하여 좀 더 생생하게 그 과정을 보여준다. 그런데 의궤 중에서 국왕이 아닌 다른 왕실 구성원의 죽음을 기록할 경우 서명에서부터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궁금증을 자아낸다. 신분의 구별이 뚜렷한 조선시대에 여타의 왕실 구성원들은 어떻게 상장례를 치렀을까 하는 의문이다. 이 책은 그중 18세기에 죽음을 맞이한 영조, 문효세자, 의소세손을 다루었다. 왕실의 구성원 중 남자를 중심으로 하되 국왕, 국왕의 뒤를 이을 국본 세자, 그리고 그들의 손자이자 아들인 세손을 차례로 정리했다. 조선은 모든 질서를 ‘예(禮)’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분짓는 유교 국가이기에 국왕을 비롯하여 세자, 세손의 상장 과정을 함께 살피는 것은 처음 시도되는 만큼 의미있는 작업이라 판단했다. 이들이 죽는 순간부터 상장례를 모두 마치기까지 절차는 어떠하며, 어떤 절차에서 차이를 보이며, 어떠한 용어를 사용하고, 공통점은 무엇이며 차이점은 무엇인지 등을 밝히는 것이 이 책을 집필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다. 여기에 생생한 현장감을 배가시킬 사진과 채색 그림을 곁들여 이해 를 돕는 것은 물론이다. 이 책은 그간 발표했던 조선 왕실의 상장례에 대해 쓴 글들을 대폭 수정하고 보완하여 묶은 것이다. 각 인물마다 3년간 진행된 의식 절차를 망라하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대부분 사어화(死語化)된 어려운 단어를 풀어쓰고, 심지어 이해를 돕기 위해 삽입한 사진과 수많은 그림에 대한 설명은 그간 출간한 저서들과는 또 다른 고통을 안겨주었다. 그럼에도 막상 책으로 엮고 보니 다음 연구를 위한 바탕이 된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다.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 의례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은 박사 논문을 저서로 출간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정조의 국장을 다룬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을 이은 필자의 세 번째 저서이다. 오랜 시간 탈고를 기다려주고 신구문화사에 출판을 의뢰해준 역사문화연구소 유봉학 소장님께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이 앞선다. 그리고 책 기획부터 출간까지 조언을 아끼지 않고 도와준 역사문화연구소 연구부장 정재훈 선생님과 정해득 선생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도판과 도표가 많아서 편집이 힘들었을텐데 이쁘게 만들어준 신구문화사 최승복 편집부장님의 열정은 오래도록 잊지 못할 것이다. 아울러 신구문화사 식구들에게도 깊이 감사드린다. 시간을 연구하는 데 익숙한 필자가 의례 공간의 중요성을 일깨워준 서울학연구소에 있을 때 집필한 것이라 감회가 남다르다. 의례 공간에 대한 관심을 본서에 반영하도록 도와준 이혜원 선생님과 박희용 선생님께도 고맙고 감사하다. 도판을 제공해 준 전혜원 선생님과 김민규 선생님, 도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준 여러 기관의 고마움 또한 잊을 수 없다. 충분한 교정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해준 서울학연구소 이익주 소장님, 오랫동안 건강을 책임져준 김동일 원장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지금까지 공부할 수 있었던 데에는 가족의 지원과 격려가 가장 큰 힘이 되었다. 언제나 믿고 응원해준 부모님, 교통사고로 오랫동안 병원에 계신 어머니를 헌신적으로 봉양하는 오빠와 올케언니에게 가장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2017년 1월 서울학연구소 연구실에서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