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서양철학 로드맵

eBook으로 보기 저자별 추천 목록 다운로드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 1942 ~
조르조 아감벤의 삶:

조르조 아감벤은 1942년 로마에서 태어났다. 1965년에 시몬느 베이유의 정치사상 연구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과 1968년에 프랑스 남부 토르에서 열린 하이데거의 세미나(각각 헤라클레이토스와 헤겔이 주제였다)에 참석했다. 1970년에 첫 저서인 『내용 없는 인간』이라는 미학서를 출간했고, 1974~1975년에는 런던의 바르부르크 연구소 도서관에서 연구하며 서구 문화에 나타난 말과 환영을 다루는 『스탄체』를 집필했다. 이탈리아에 돌아온 아감벤은 1978년부터 이탈리아판 발터 벤야민 전집을 기획했으며,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서 벤야민의 미간행 수고들을 발굴하기도 했다. 1986~1993년에 파리 국제 철학 학교 프로그램 디렉터로 지내며 당대 프랑스 철학자들(자크 데리다, 장–뤽 낭시 등)과 교류했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호모 사케르』 연작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조르조 아감벤의 사상:

조르조 아감벤의 궁극적인 화두는 다음과 같다. ‘나는 말한다’, ‘나는 산다’, ‘나는 할 수 있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이 물음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도입한 이후 서구 철학사를 지배한 인간에 대한 정의(언어를 가진 동물, 폴리스적 동물)와 존재 및 운동에 대한 규정(잠재태와 현실태)을 염두에 둔 것이다. 아감벤은 이 규정들이 목소리와 말, 동물과 인간, 잠재성과 현실성의 구분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전자에서 후자로의 이행에서 배제되면서 포함되는 것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서구 존재론의 토대를 의문에 부친다. 서구 형이상학의 극복이라는 마르틴 하이데거식 문제 틀을 전개하기 위해 아감벤이 내세우는 개념은 언어 경험 혹은 유아기, 삶–의–형태, (비)잠재성의 잠재성이다. 아감벤은 하이데거의 세미나에 참여한 뒤 철학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고, 발터 벤야민 전집을 준비하면서 자신의 근본 물음들을 형성했으며, 언어 문제와 관련해서는 로만 야콥슨이나 에밀 방브니스트의 연구를 수용했고, 생명 정치나 철학적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미셸 푸코의 영향을 받았다.

조르조 아감벤, 단계별 읽기:
step1,2,3 step1 step2 ste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