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이전
다음
리스펙토르의 시간
5월 특별 선물. 고흐 우양산 · 전통문양 우양산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 정가
    18,000원
  • 판매가
    16,200원 (10%, 1,800원 할인)
  • 마일리지
    9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 배송료
      무료
    소설/시/희곡 주간 64위|
    Sales Point : 3,910

    세일즈 포인트

    • SalesPoint는 판매량과 판매기간에 근거하여 해당 상품의 판매도를 산출한 알라딘만의 판매지수법입니다.
    • 최근 판매분에 가중치를 준 판매점수. 팔릴수록 올라가고 덜 팔리면 내려갑니다.
    • 그래서 최근 베스트셀러는 높은 점수이며,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셀러들도 어느 정도 포인트를 유지합니다.
    • `SalesPoint`는 매일매일 업데이트됩니다.

    무이자 할부 안내

    • * 2~3개월 무이자 : 현대,하나,국민,삼성
      * 2~5개월 무이자 : 롯데,신한
      * 2~6개월 무이자 : 농협,우리,BC
      ※ 제휴 신용카드 결제시 무이자+제휴카드 혜택 가능합니다.
      ※ 알라딘페이는 토스페이먼츠사 정책으로 5만원 이상 할부 선택이 가능하오니 필요시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 부탁드립니다.
      ※ 오프라인결제/Non ActiveX 결제(간편결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간편결제/법인/체크/선불/기프트/문화누리/은행계열카드/ 알라딘 캐시와 같은 정기과금 결제 등은 행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무이자할부 결제 시 카드사 포인트 적립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수량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

    보관함에 상품 담기

    선물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편집장의 선택
    편집장의 선택
    "클라리시처럼 쓰게 될 여성들에게"
    심장에서 출발하는 글쓰기, '여성적 글쓰기'라는 개념을 창안한 이후, 이러한 글쓰기의 한 예로 <달걀과 닭>, <G.H.에 따른 수난>, <야생의 심장 가까이> 등의 작품으로 국내 독자에게도 깊게 사랑받은 작가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작품을 집중해 이야기해온 앨렌 식수가 리스펙토르에게 바친 세 편의 글을 엮었다. 알제리 오랑(Oran)에서 태어난 유대계 작가인 식수는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브라질에서 활동한 유대계 작가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언어, 라란자(laranja, 오렌지의 포르투갈어)에 닿을 때까지 '오렌지'를 향해 하강한다. 리스펙토르 작가론에 해당하는 첫 수록작 <오렌지 살기>를 통해 식수는 풍성한 감각을 외줄타기하듯 넘나들며 '글을 쓰는 여자의 은은하지만 도취시키는 맛을'(48쪽) 그 풍요로운 체취를 침이 고이게 그려낸다.

    <G.H.에 따른 수난>의 번역자 배수아는 '파편적으로 드러나는 고백과 같은 G.H.의 이야기들은 대부분 그녀의 여성-정체성과 연관된다.' (<G.H.에 따른 수난>258쪽)고 리스펙토르를 소개한다. '몸통 한 가운데가 꺾인 존재는 암컷일 수밖에' (<G.H.에 따른 수난>125쪽) 없다는 소설의 문장에서 배수아는 소설의 내장을 읽어 낸다. 식수는 도시의 구불구불한 내장을 지나치고 나서 '하나의 집, 하나의 거실이 얼마나 많은 죽음을 대가로 치르는지'(<리스펙토르의 시간> 57쪽)를 목도한다. 생명과 죽음을 감각하는 리스펙토르의 시간이다.

    여성은 여성 자신을 글로 써야 한다. 그리하여 여성들이 글쓰기로 오게 만들어야 한다.
    엘렌 식수, <메두사의 웃음/ 출구> 중

    리스펙토르는 오랜 시간 '남미의 여성 카프카'로 소개되었다. 작가론, 작품론으로 이어지는 식수의 리스펙토르론을 드문드문 함께 읽으며 '여성적 글쓰기'와 '자기 자신에 대한 말하기'에 대한 더 많은 대화가 오고가길 고대한다. '두서없는', '한풀이'로 오해받은 여성 당사자의 글쓰기가 언젠가는 클라리시의 시간과 함께 흐르게 될 것을 이 책은 알고 있다.
    - 소설 MD 김효선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