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photos |

|
|
|
상품평점 |
|
|
| 출생: | 1954년,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 (염소자리) |
| 기타: |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
|
|
|
|
최재천서울대학교 동물학을 전공하고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생태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10여 년간 중남미의 열대를 누비며 동물들의 생태를 탐구한 뒤, 국내로 돌아와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명에 대한 지식과 사랑을 널리 나누고 실천해 왔지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한국생태학회장, 국립생태원 초대원장 등을 지냈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와 생명다양성재단 대표를 맡고 있어요. 지은 책으로는 『개미제국의 발견』,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다윈 지능』, 『통섭의 식탁』, 『과학자의 식탁』 등이 있지요.
|
2007년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
|
2006년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석좌교수 |
|
2006년 한국생태학회 부회장 |
|
2004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 |
|
2002년 서울 국제생태학회 공동위원장 |
|
1996년 미국 미시간대학교 동물학박물관 종신 객원연구원 |
|
1994년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spect behavior 편집위원 |
|
1992년 미국 미시간대학교 조교수 |
|
1990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전임강사 |
 |
| <과학자처럼 사고하기> - 2012년 1월  나는 일찍이 ‘과학의 대중화’가 중요한 게 아니라 ‘대중의 과학화’가 중요하다고 부르짖었다. 『과학자처럼 사고하기』를 읽다 보면 저절로 과학 마인드를 얻게 된다. 분명 ‘대중의 과학화’에 기여할 만한 흥미롭고 유익한 책이다. 인터뷰를 진행하는 에두아르도 푼셋은 원래 법학과 경제학을 전공하였지만, 다양한 자연과학 분야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과학자 37인의 두뇌를 풀어헤친다. 본문에 인용된 “오로지 과학만이 뉴스이고, 다른 모든 것은 풍문이며 잡담이다.”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알 듯 싶다.
|
 | 236명(23%) | |
|  | 220명(21%) | |
|  | 210명(20%) | |
| |
|